• Twitter
  • Facebook
  • Linkedin
  • 회사소개
  • ENGLISH
  • JAPANESE
UBI Research
  • OLED 보고서
  • OLED 마켓트랙
  • Weekly Report
  • 컨설팅
  • 컨퍼런스
    • 세미나
    • 기업 방문 세미나
  • Search
  • Menu

보도자료

2021년 1월 10일/작성자: UBI

2025년 mini-LED TV 시장이 프리미엄 TV 시장의 대세

2020년 12월 7일/작성자: UBI

OLED 시장 급성장에서 조정기로 진입

2020년 11월 13일/작성자: UBI

QNED 상품화 한 발짝 더 다가섰다

2020년 10월 26일/작성자: UBI

2021년 출시될 삼성 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터치 펜 탑재와 UTG 두께 달라지나

2020년 10월 19일/작성자: UBI

2020년 상반기 OLED 실적 분석

2020년 10월 12일/작성자: UBI

2020년 8월 공개된 OLED 발광재료 특허, LG 화학이 가장 많은 특허 수 기록

2020년 10월 5일/작성자: UBI

지속되는 코로나 악재 속 2020년 하반기 OLED 시장 매출액 107% 상승 전망

2020년 9월 13일/작성자: UBI

2020년 2분기 발광재료 시장 2.3억 달러 규모, 전 분기 대비 30% 감소

2020년 9월 8일/작성자: UBI

중국의 OLED 시장 지배력 커졌다

2020년 8월 24일/작성자: UBI

2020년 2사분기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 8700만대로 급락

2020년 7월 15일/작성자: UBI

2020년 상반기 중국 OLED 산업 동향 보고서 출간

2020년 7월 3일/작성자: UBI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OLED 스마트폰의 급성장이 예상

전체보기

최신 보고서

2021년 1월 25일/작성자: UBI

2021 Flexible & Foldable OLED 보고서

2021년 1월 19일/작성자: UBI

Micro Display 기술 보고서

2021년 1월 10일/작성자: UBI

Mini-LED BLU 기술과 Mini-LED TV 시장 보고서

2020년 12월 2일/작성자: UBI

2020 OLED 장비 보고서

2020년 11월 12일/작성자: UBI

QNED 기술 분석 보고서

2020년 10월 21일/작성자: UBI

2020년 OLED 부품소재 보고서

2020년 10월 13일/작성자: UBI

2020년 OLED 발광재료 특허 분석 보고서

2020년 10월 3일/작성자: UBI

2020 하반기 OLED Display 보고서

2020년 9월 9일/작성자: UBI

OLED 최신 기술 동향 보고서

이번 보고서에는 주요 세트 업체들의 폴더블 기기 개발 동향과 주요 패널 업체별 폴더 OLED 개발 동향, 폴더블 OLED 관련 주요 소재와 기술 동향 등을 다루었다.
주요 세트 업체의 개발 동향에서는 삼성 전자와 LG 전자, Huawei, Xiaomi의 2021년 폴더블 기기 출시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패널 업체 부분에서는 각 패널 업체들의 폴더블 개발 로드맵과 개발 동향, 전시 내용 등을 수록하였다.
전시 동향에서는 중국에서 열린 각종 전시회 뿐만 아니라, BOE의 IPC 대회와 Visionox의 V3 점등식 발표 내용, 최근 온라인으로 개최된 CES2021까지 폴더불과 롤러블 제품들을 수록되었기 때문에 전시회나 관련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업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를 이을 첨단 IT 제품으로서 안경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주목받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AR과 VR에 이어 XR과 MR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과 소니는 이미 다양한 성능의 AR Glass를 출시하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발과 함께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품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이다. 특히 AR이나 XR, MR용 기기는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이 현실과 부합하여 표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고정세와 고휘도, 초경량이 요구되고 있다.

LCD가 더욱 진화한 제품이 출현한다. BLU에 QD film과 mini-LED가 첨가되어 휘도와 HDR, 색재현성을 대폭 향상시킨 LCD이다. 기존의 최상위 LCD는 local dimming zone이 300~500 정도인 FALD(full array local dimming) BLU를 사용하였다.

Mini-LED를 사용하여 local dimming zone이 3,000 이상으로 많아지면, FALD BLU LCD TV 보다 명암비가 대폭 개선되고 halo effect는 줄어든다. OLED와 대등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local dimming zone이 화소 수만큼 있어야 하지만, LED 사이즈 축소 한계에 의해 올해 판매될 mini-LED TV는 local dimming zone이 1,000~3,000 제품이 될 것이다. 구동은 PM 방식이다.

이번에 발간된 “2020 OLED 장비 보고서”에서는 한국과 중국 등 각 패널 업체들의 투자 동향과 가동률, 재무 상황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삼성 디스플레이에서 개발 중인 QD-Display의 개발 현황과 oxide TFT, 칼라 필터의 제조 공정을 수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2023년까지 OLED의 장비 시장을 공정별과 세대별, 국가별, 장비별 등으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OLED 관련 장비 업체들이 향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 보고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QNED에 관련해서 출원한 특허들 중에서 2020년 10월2째주까지 공개된 94건을 정밀 분석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상반기에는 41건의 특허로서 QNED를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확보된 특허들에서는 6개월 정도 기간 차이가 있었지만, 놀란 만한 기술적인 진보가 확인되었다.

Backplane은 7T2C TFT이며 nano-rod LED를 정렬하기 위한 oscillator와 리페어용 트랜지스트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바일 기기용 OLED에 사용되는 TFT 구조와 흡사하게 QNED 회로가 구성되어 있었다. QNED 역시 전류 구동 소자이기 때문에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대형 OLED는 3T1C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COVID-19로 인해 주춤했던 OLED 산업이 다시 활기를 띄고 있는 가운데 2020년 OLED 제품에는 LTPO TFT와 micro lightening pattern(MLP) 등 다양한 기술들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이번에 발간 된 “2020년 OLED 부품소재 보고서”에서는 각 패널 업체들의 폴더블 기기용과 모바일 기기용, TV용 OLED 부품소재의 신기술과 공급망을 분석하고 향후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로드맵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2025년까지 각 패널 업체들의 양산 캐파와 출하량을 예측하고 OLED를 구성하는 기판과 TFT, encapsulation, 터치 센서, adhesive, 커버 윈도우, Module 등의 핵심 부품소재 시장을 전망하였다.

향후 OLED 관련 기술과 소재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비즈니스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가이드 라인이 될 것이다.

본 보고서는 디스플레이 업체들과 연구소, 대학에서 2016년부터 현재까지 SID와 IMID, IDW에 발표한 연구 내용을 분석하여, OLED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과 향후 접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기술만을 정리하였다.

이 보고서는 유비리서치의 시니어 애널리스트인 우라베(전 Sony OLED 개발팀장/개발본부장)가 작성하였다.

OLED 관련 전문 기술 서적이 전무한 가운데서, [OLED 최신 기술 동향 보고서]는 OLED 개발자들이 기술 별 개발 목표와 방향을 보여주는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이 보고서의 목적과 용도는 각 기업들이 수립해야 할 2021년 각종 기획용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어플리케이션 별로 목차를 구성하여 산업별 상황을 분석하고 시장을 전망하였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아직도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맞이해야 할 2021년은 이전과는 다른 관점에서 시장을 전망하고 고찰할 수 있는 혜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2020년 상반기는 전시회와 컨퍼런스가 한정적으로 개최되었지만, 세트 업체와 패널 업체 상황과 전시 동향을 정리하였다. 또한 상반기 실적을 분석하고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시장을 전망하여 수록하였다.

AMOLED 제조공정 보고서는 AMOLED를 중소형과 대면적으로 나눠 구조와 제조 공정을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중소형 AMOLED의 검사 공정도 도식화 하였기에 각 업체에서 AMOLED의 전반적인 구조와 핵심 공정들을 파악할 수 있는 보고서입니다.

이번에 발간 된 AMOLED 공정 보고서 ver.3는 LTPO TFT 공정과 QD-OLED 공정이 추가되었습니다.

본 보고서는 패널 업체 뿐만 아니라 장비와 부품소재 업체들이 AMOLED 제조 공정을 이해하기 위한 필독 보고서 입니다.

(주)유비산업리서치 / 대표이사 이충훈 / 사업자 등록번호 220-87-44660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강남-15333호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논현로 83, 삼호물산빌딩 A동 1901호 우편번호 06775 (주)유비산업리서치 / TEL:02-577-4390 / E-MAIL:marketing@ubiresearch.com
UBI Research  Powered by INOSTONE
  • Twitter
  • Facebook
  • Linkedin
Scroll to top